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수액종류와 효과 병원수액의 모든것 (영양제,비타민,포도당, 알부민, 마늘주사,감초주사,신데렐라주사,백옥주사,와인주사,징코주사)수액부작용

수액 성분 비교표

#수액의 종류#병원수액#마늘주사#신데렐라주사#비타민주사#칵테일주사#영양제#TPN#기초수액#영양수액#특수수액#아미노산수액#포도당수액#전해질수액#plasma#핫덱#핫솔#DS#HD#HS#N/S#식염수액


이제 수액의 종류에 대해서 더더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합시다~~~

흔히 병원에서 노말셀라인이라고 불리우는데

0.9%와 0.45%로 2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Saline은 체액과 같은 삼투압이기 때문에 출혈, 탈수에 의한 체액 보충, 전해질 공급을 위해 사용합니다.

항생제 및 다양한 약물의 희석제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체액과 같은 삼투압으로 수혈시 유일하게 같은 정맥라인으로 주입이 가능한 수액!!!

1.N/S (노말셀라인)Normal saline

- 0.9% 생리식염수 (소금물)이며, 우리몸의 체액과 가장 비슷합니다.

염화나트륨 9g/L

수분및 전해질의 결핍시 사용하는데 특히 Na(나트륨 =소금)과 CL(염소=혈액중에 산성과 알칼리성의 조화를 이루게 해주는 미네랄- 인체 내의 찌꺼기들을 없애는데 도음을 준다. 소화작용에 도움이 되며 몸을 유연하게 한다. 부족증상은 탈모가 생기거나 치야가 약해지기도 한다)

외상 세척, 1차적 상처 세척에 사용하며

혈압이 떨어질때 Volume을 주기위해 사용되거나, 심한 탈수 증상교정에 쓰입니다.

N/S 3000mL는 혈뇨등 방광세척에 쓰입니다.

보통 신경외과 (NS)환자들이 주로 사용하는데 그 이유는 세포내에서의 호흡은 산소를 사용해서 에너지를 발생시킵니다.

산소와 당이 반응하여 이산화탄소, 물, 에너지를 생성하게 됩니다.

이때 산소의 공급이 원할하지 못하면 세포내 호흡은 젖산을 만들게 되고 에너지는 소량으로 발생합니다.

젖산은 체내를 산성으로 만들어 몸의 상태를 나쁘게 합니다.

뇌에 질환이 있거나 뇌손상을 입을 경우 뇌압이 상승하게 됩니다.

뇌의 혈류가 원활하게 공급하지 않게 되고 산소공급이 떨어지게 됩니다

신경세포가 무산소로 호흡반응이 일어나면 젖산(Lactid acid)가 많아지면서 신경세포를 손상시킬수 있습니다

호흡에 사용되는 주된 성분이 포도당과 산소인데 , 수액에 포도당이 있다면 산소는 모자라는데 포도당이 상대적으로 너무 많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자연적으로 무산소 호흡이 일어나게 되어 뇌세포에 나쁜 영향을 끼치게 되므로 뇌손상 환자는 포도당 수액을 사용하지 않고 N/S을 주로 사용합니다

참~ 그리고 간호사들은 수혈을 자주 하게 되는데 수혈 혈액과 함께 들어가도 전혀 몸에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수액은 N/S 가 유일하므로 잊지 말기 바랍니다.

따라서 혹시 모를 사고를 위해 우리는 수혈을 하게 되면 20G의 루트를 잡아 따로 수혈하는 라인을 따로 잡게 됩니다.

우수개 소리로 NS는 NS라고 N/S를 쓴다고 하지요...

저만 우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2. 0.45%N/S

- N/S의 반이 들어있어 병원에서는 하프셀라인이라고 불립니다.

염화나트륨 4.5g/L

소아나 몸속에 소금수치인 Na가 너무 높을때 사용하게 됩니다.

Nacl은 염화 나트륨성분으로 우리 체액과 가장 비슷한 성분입니다.

포도당생리식염주사액은 포도당과 나트륨으로 구성되어 있숩니다.


3. 5%DS

병원에서 "에스디"라고 불리웁니다.

-5% DS (5%포도당 생리 식염수)

염화나트륨 9g/L + 포도당 50g/L

탈수증, 수술전.후등의 수분.전해질 공급, 에너지 보급

D(dextrose)포도당 + S(saline)식염수


DW는 5%,10% 50% 3가지 종류가 있다.

수액중 포도당의 비중에 따라 나쥔것으로 저혈당시 에너지 공급이 필요하거나 금식해야 하는 환자에게 저혈당 예방 목적으로 사용된다.

전해질이 포함되지 않은 수액으므로 필요한 전해질을 섞어서 사용하기도 한다.

주로 고칼륨 혈증 치료에 사용한다.

주로 5%,10% DW를 사용하며, 50%는 저혈당 쇼크 환자에게 사용한다.

이 수액은 포도당이 들어 있어 당뇨환자에사 사용하면 고혈당이 일어나기 때문에 수액에 인슐린을 섞어 사용하기도 한다.

4. 5%DW (5% 포도당수액)

-포도당 50g/L D(dextrose)+W(water물)

탈수증, 특히 수분결핍시 수분 보급, 주사제의 용해 희석제로 쓰임

포도당함유제제를 정맥주사하는 환자는 비타민B1 (티아민)소모율이 높기 때문에 순간적인 티아민 결핍을 초래할수 있습니다.

포도당수액(5%.10%,50%dw, SD,HS)을 대량 급속 투여하면 전해질 상실을 일으킬수 있다.


5. 10% DW (10%포도당 수액)

-포도당 50g/500ml

고칼륨혈증, 순환허탈, 저혈당시의 에너지 보급

심질환( G.I.K요법) , 수분, 에너지공급

약물이나 독극물 중독에 사용합니다.

EX) 술에 너무 취한 환자가오면 티아민 10ampule 을 10%dw 에 mix하여 주게 됩니다.


6.50%DW(50% 포도당수액)

 

- 포도당 500g/L

고칼륨혈증, 저혈당시 에너지 보급, 약물, 독물중독등에 쓰임 10%DW와 같은 효과

인슐린이 과다 투여된 환자가 있다면 hypoglycemia (저당혈증)을 치료하기 위해 혈당농도를 복원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간에 문제가 있는 사람들은 간에서 글리코겐으로 저장되어 있다가 에너지를 필요시 포도당으로 바꾸어 열량을 소모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이 원활하지 않게 됩니다.

이때 포도당을 공급하여 에너지원으로 쓸수 있게 합니다.

간손상환자들은 N/S을 사용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간손상이 되면 배에 복수가 차게 되는데 N/S는 복수를 더 생성되게 만드는 역활을 하기 때문입니다.


7. HD- Hartman dextrose (하트만디액)

병원에서 줄여서 "핫디","핫덱"으로 부르며 HS+5% 포도당을 더한 수액이다.

-염화나트륨 6g/L, 염화칼륨 300mg/L, 염화칼슘200mg/L, 락트산나트륨 6.2g/L, 포도당 50g/L

순환혈액량 및 조직간액의 감소시 세포외액의 보급, 보정

대사성 산증의 보정

에너지 보급

외과에서 수술후 환자에게 혈압유지나 전해질 공급을 위해 주로 사용합니다.


8. HS - Hartman solution(하트만액)

병원에서 하트만솔루션을 부를때 "핫솔"이라 줄여 부릅니다.

나트륨, 칼륨등 혈장 전해질과 유사하게 구성되어 전해질을 제공하거나, 저혈량증시 체액을 보충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염화나트륨 6g/L, 염화칼륨 300mg/L, 염화칼슘200mg/L, 락트산나트륨 (젖산나트륨)3.1g/L

젖산나트륨은 세포외액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중탄산염을 생산하면서 대사되기 때문에 대사성 산증을 보정합니다.

순환혈액량및 조직간액의 감소시 세포외액의 보급, 보정

대사성 산증의 보정

HD와 비교할때 포도당이 없고 락트산나트륨 또한 반이 들어있습니다.

주의: HD, HS 모두 염화칼슘이 있으므로 수혈시 함께 사용하면 절대 안된다 => 이유는 Ca(칼슘) 혈액 응고작용을 하게 하므로 수혈시에는 금기!!

또한 하트만 솔루션이나 하트만덱스는 세포트리악손(항생제)와도 침전물을 만들기 때문에 함께 투여하지 않는다.


9. 5% DWNaK1 (DNK 1)(5% 포도당 칼륨나트륨 1호)

- 염화나트륨 4.5g/L, 염화칼륨 2.2g/L, 포도당 50g/L

탈수증, 수술전.후등의 수분.전해질 보급 ,에너지보급

DNK 2 역시 Sodium 즉 염화나트류 수치는 DNK1와 같습니다.

DNK 3는 주로 모유나 분유를 먹는 영아에게 투여됩니다. 모유나 분유에는 소금 즉, 나트륨의 수치가 적기 때문에 수액도 34mEq/L가 들어있는 수액을 선택합니다.

영아는 하루 500mL이상 들어갈일이 없어 이 수액은 500mL만 있습니다.


10. 5%NaK2 (5%포도당 칼륨 나트륨 2호)

- 염화나트륨 4.5g/L, 염화칼륨 1.5g/L, 포도당 50g/L

탈수증, 수술전.후등의 수분.전해질 보급 ,에너지보급

5%포도당 칼륨 나트륨 1호와 비교할때 염화칼륨의 수치가 1.5g/L인것 외에 다른점이 없습니다.


11.5%NaK2 (5%포도당 칼륨 나트륨 3호)

- 염화나트륨 1g/L, 염화칼륨 0.75g/L, 포도당 25g/L

탈수증, 수술전.후등의 수분.전해질 보급 ,에너지보급

5%포도당 칼륨 나트륨 1호와 비교할때 전체적으로 전해질 용량이 적습니다.


 

12. 아미노산 수액제

-저단백혈증, 저영양상태, 수술전후에 투여합니다.


13.TPN (Total parenteral nutrition)

비경구적정맥영양요법

- 다양한 영양소, 전해질, 미량의 영양소들을 정맥으로 공급할때 사용함

단백질, 아미노산, 탄수화물, 포도당,오메가 3, 전해질(인,염소,칼륨, 나트륨,마그네슘,칼슘)등 생리활성 유지를 위한 필수 미량원소들을 포함합니다.

위장관 수술을 하였거나 경구영양이 힘든 환자, 만2세 이상 소아및 성인 환자에게 수분, 전해질, 아미노산및 칼로리 보급을 위해 씁니다.

고암모늄혈증이나 경정맥 투여시 발열및 혈전성 정맥염및 발적이 부작용으로 나타날수 있습니다.

오메가 4를 공급하는 수액


14. 3% 염화나트륨액, Nacl 40

 

-대량및 급속투여시 울혈성 심부전, 부종, 산증, 혈청전해질 이상이 나타날수 있습니다.

부작용 - 안절부절, 허약, 갈증, 입안건조, 부은혀, 피부홍조, 저혈압 , 빈맥, 발열, 어지러움, 두통등


 

15.염화칼륨 40% ,Postan (포스텐)

칼륨중독증상 - 사지감각이상, 이완마비, 무관심, 정신혼동, 다리의 허약과 무기력, 혈압저하, 심부정맥, 심장차단등


16.중외주사용수

-가습목적으로 사용

주사를 목적으로 사용하면 안됨!!!


17. Plasma solution (플라즈마)

플라즈마는 다른 수액에 비해 전해질이 많은 수액입니다.

TS(Trauma sugery)외상외과에서 주로 사용하고 BP저하시 volume을 주기위해서, 외상으로 인한 출혈, 전해질 손상등을 보충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외상으로 근육이 손상되면 LDH/CPK라는 수치가 상승하게 되는데 심하면 Rhabdomyolysis(횡문군융해증)이 생기게 됩니다.

"랍도"라고 줄여말하는 이 증상을 교정하기 위해 플라즈마를 사용하게 됩니다.

잠시 문제가 되고 있는 랍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Rhabdomyolysis(횡문군융해증)

근육이 괴사하면서 세포안에 있는 근육성분이 혈액으로 방출되면서 나타나는 증상이다.

근육세포에서 나오는 creatinine kinase (크레아틴 키나아제)같은 근육효소의 혈중농도가 상승하고 근육통증및 소변에서도 근육세포에서 나오는 미오글로빈이 나오는것이 특징적이다.

요즘 스피닝을 하면서 허벅지 근육이 파열되어 랍도가 되어 오는 환자도 있고 구타를 심하게 당하여 랍도가 생기기도 하니 너무 무리하게 운동하지 않도록 주의 하여야 겠습니다.

근육에 부종이 생기면 근육내 혈관과 신경이 압박되어 근육괴사가 진행됩니다.

이때는 구획증후군으로 발전하므로 빠르게 근막절개술을 시행하여 피부와 근막을 절개하여 근육괴사를 막습니다.

여담이지만

문근영은 7개월간 4번의 수술을 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과도하게 타이트한 청바지를 입거나 여자 아이돌이 다리 붓기때문에 압박스타킹을 신고 자기도 하는데 혈액순환이 안되면 굉장이 위험한 상황에 처할수 있으니 제발 그러지 마시기 바랍니다.

수액이야기를 하다가 여기 까지 왔네요

꼬꼬무~~~~~~~~

#수액의 종류#병원수액#마늘주사#신데렐라주사#비타민주사#칵테일주사#영양제#TPN#기초수액#영양수액#특수수액#아미노산수액#포도당수액#전해질수액#plasma#핫덱#핫솔#DS#HD#HS#N/S#식염수액


18. 에스디주1-2

주로 유아 환자에게 탈수증이나 수술전후의 수분, 전해질 공급및 에너지 공급에 쓰입니다.

1L중 염화나트륨 3g + 포도당33g 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