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고혈압 작용기전 (for 수정)고혈압약의 종류 부작용

이제 막 간호대생 1학년이 된 수정양~

시험을 보기 위해 열심히 외우기는 하되~ 간호학과의 중요 학문인 생리학과 약학에 대해 좀더 쉽게 알려주고 싶어 이렇게 포스팅 해본다.

오늘은 우선 고혈압에 대한 간단한 조절 기전과 약물에 대해서 수정양이 가장 쉽게 알수 있게 설명해 보겠다.

우선 고혈압의 조절 기전에 대해서 간단하게 이해를 돕기 위해 이미 배운데로 한번 더 알고 가자~

혈압의 조절 기전

고혈압의 조절기전을 알기 위해서는 우리몸의 혈압이 어떻게 조절되는지 알아야 하는데 ...

한번 가장 쉽게 알려줘 보겠다.

가장 기본적인 시스템을 알아보자

레닌- 안지오텐신- 알도스테론 시스템 (Renin- Angiotensin -Aldosterone system, RAAS)

오잉? 처...음 들어본다규?

그럼 안되 ~

이정도는 그냥 알고 있어야해... 오늘은 이것만은 외우자

무조건 시험에 나온다고 막 외우지 말고 작용 기전을 한번 알고 나면 매번 공부하지 않아도 된다.

그럼 어떻게 쉽게 알수 있을까?


만약 주위에서 병원에 갔더니 혈압이 너무 낮다는 예기를 들었다면서 "고혈압은 왜 생기고 어떻게 생기는지? 설명좀 해달라고 한다고 하자... 뭐라고 설명하겠는가?

우리 몸은 혈압이 낮다고 인지하면 신장에서 정상수치로 혈압을 올리기 위해 레닌 (Renin)이라는 효소를 분비하게 되지요

레닌이라는 이 효소는 혈중에 있는 안지오텐시노젠(Angiotensinogen)이라는 효소를 안지오텐신1(angiotensin1)으로 전환 시키고 안지오텐신1은 다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를 ( Angiotensin converting Enzynme, ACE)를 매개로 안지오텐신2(angiotensin2)로 전환합니다.

네?

레닌이 안지오텐시노겐이.. 뭐뭐...안지오텐신 뭐.. 1 효소가 뭐 2 로 변화 시켜서 ... 어떻게 한다구요?

그러게요 좀 복잡해 보이죵?

우선 ACE 저해제 부터~

효소 분비기관

안지오텐시노겐 - 간

레닌 - 신장

ACE - 폐

혈압이 낮아지면 간에서 안지오텐시노겐이 분비 되고 신장(사구체옆 세포)에서 분비된 레닌이 안지오텐시노겐을 안지오텐신1으로 변환시키고, 안지오텐신1은 폐에서 분비된 ACE에 의해 안지오텐신2로 변환된다.

안지오텐신2는 뇌하수체 전엽과 후엽으로 작용한다.

안지오텐신2는 뇌하수체 전엽에서 ACTH 를 분비되도록 하여 부신피질에서 알도스테론을 분비 -> 알도스테론은 신장 원위세뇨관에서 Na+과 수분의 재흡수를 촉진하게 하여 혈액량을 증가시켜 혈압을 정상으로 돌아온다.

안지오텐신 2는 뇌하수체 후엽에 작용하여 ADH를 방출하게 만들고, ADH는 혈관을 수축시키고 신장 집합 세뇨관에서 수분 재흡수를 촉진하여 혈압을 정상으로 돌아오게 한다.

우선 모르는데로 넘어가 봅시다.

레닌과 안지오텐신 2는 모두 혈관을 수축시켜 혈압을 상승작용을 합니다.

안지오텐신 2는 부신피질을 자극하여 알도스테론을 분비하고 알도스테론은 신장에서 (항이뇨호르몬)작용을 하여 혈압을 상승시키지요

안지오텐신 2는 뇌하수체에도 자극을 하여 항이뇨호르몬(ADH)을 분비히켜 또 다시 수분을 재흡수 시켜서 혈압을 올립니다.

항이뇨호르몬 = 바소프레신

시상하부는 어디에 있을까?

시상하부는 위 그림과 같이 간뇌의 일부 입니다.

시상하부는 자율신경의 중추로서 생명활동에 필요한 기능을 항상성있게 유지시키며, 시상하부 호르몬과 뇌하수체호르몬을 생산합니다.


고혈압약의 종류

1. 이뇨제 (소변량을 늘리는 약)

몸에 수분이 많아지만 당연히 소변으로 나가는게 자연스러운 일이지만 무리하게 이뇨제를 사용하여 소변을 배출하다보면 전해질의 불균형이 나타날수 있습니다

이뇨제의 종류 - 다이크로짇, 라식스, 알닥톤 등등... (우선 우리 병원에서 많이 쓰는 약 위주로 다가 정리)

2. 베타차단제 (심장 박동을 느리게 하는약)

심장의 자율신경계를 조절하여 심장의 수축력을 감소시켜 혈압을 조절하는데 심장 수축력이 저하되다보니 피로감, 졸음, 현기증,고지혈증이나 성기능 장애같은 부작용이 나타난다

기관지도 수축시키기 때문에 천식등의 만성폐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나 특히 중증 천식 환자에게 투여하면 안 됩니다. 왜냐하면 천식약에 쓰이는 약물들은 베타-2 수용체에 작용하기 때문에, 베타 차단제를 쓰게 되면 이 수용체를 막아서 천식약이 작용을 못 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심장 수축력이 떨어진 심부전이나, 2도, 2도 방실차단, sick sinus syndrome 등에는 사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꿈을 선명하게 꾼다거나, 불면증이 생긴다거나 환각 증상이 있고, 우울 증상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특히 지용성 베타 차단제를 먹었을 때 이런 현상이 가중될 수 있습니다.

발기부전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베타 차단제의 종류 - 인데놀, 테놀민, 콩코르 등등...

3. 칼슘채널차단제 (혈관을 확장하는 약) - CCB

혈관 수축에 필요한 칼슘을 차단하여 혈관을 이완하지만 말초 혈관의 탄력이 떨어져서 안면홍조, 두통, 하지부종등의 부작용이 일어날수 있다.

칼슘통로차단제(calcium channel blockers, CCB)는 관상동맥 확장제를 연구하는 도중 발견되었습니다. 이 약은 칼슘채널을 차단하여 , 평활근의 이완과 혈관 이완의 효과를 가져옵니다.

그런데, 평활근을 이완하는 것 까지는 좋은데, 근수축력을 감소시킴으로서 심근의 수축력 또한 감소시킵니다.

칼슘채널 차단제의 종류 - 노바스크, 애니디핀,아모디핀, 헤르벤, 아달라트 등등..

4.알파차단제 (말초혈관을 확장하는 약)

처음에는 혈관약으로 출발했지만 요즘은 거의 전립선 약으로 사용되고 있다

전립선 혈관을 이완하여 소변의 배출이 용이하지만 뇌로가는 혈액이 줄어들어 기립성 저혈압이 올수 있다

알파차단제의 종류 - 하이트린, 카두라엑스엘, 탐수로이신, 카딜 등

-> 이런약물을 쓰는경우 기립성 저혈압때문에 천천히 자세를 취하는것을 설명드리게 되는데 어지러워 하여 낙상을 일으 킬수 있기 때문이다.

5.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혈류량을 조절하는 약) ACE inhibitor

나트륨 (소금성분)이 재흡수 되는 것을 억제 하여 혈압을 조절하는 약이다

ACE 저해제는 전반적으로 부작용이 낮은 약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마른 발작적 기침을 일으키는 유명한 부작용이 있습니다. 특히 백인에 비해 동양인에게서 부작용을 보입니다.

ACE 저해제는 ARB(Angiotensine -Receptor blocker)보다 치명적이고 목숨을 잃을 수 있는 angioedema라는 부작용이 출현합니다. Angioedema는 혈관 부종을 의미합니다. 이 혈관부종이 호흡기 쪽에 일어나면 목숨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혈관 부종의 부작용은 대개 ACE 저해제의 복약 초기에 발생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복약 후 수년 후에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종류 - 아서틸, 인히베이스,타나트릴, 모노프릴, 라메이스, 레니프릴,트리테이스등등..

6. 안지오텐신2 수용체 차단제 (혈류량을 조절하는 약) ARB

이 역시 5번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처럼 소금 = 나트륨의 재흡수를 억제하여 혈압을 조절하지만 마른기침의 부작용이 현저히 줄었고, 심장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지 않고 혈압을 조절함으로써 심장부담이 적어 많이 처방되고 있지만 약값이 비싼것이 단점입니다.

안지오텐신2 수용체 차단제 종류 - 아타칸, 디오반, 코자, 미카드디스, 올메텍, 프리토, 테베텐등

고혈압 환자분들께 칼륨을 섭취하여 나트륨을 배출하므로 음식을 권하기도 한다.

특히 바나나가 쉽게 구하기 쉽고 드시기 쉬어 많이 권하는 편이다.

울 수정이가 잘 이해 했으면 좋으련만~~~~~~~